토허제(토지거래허가구역)의 뜻과 영향을 알아보자

최근 강남 집값이 급등하면서 ‘토지거래허가구역’(줄여서 토허제)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정부가 서울 강남3구와 용산구를 포함한 지역을 토허제로 재지정하며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시도하고 있어요. 그렇다면 토허제가 정확히 무엇이고,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강남아파트

목차

     


    토허제란 무엇인가?

    토지거래허가구역은 국토교통부가 주택법 제63조에 따라 부동산 투기 억제와 집값 안정화를 목적으로 지정하는 특별 구역이에요. 이 구역 내에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토지나 주택을 매매하려면 지방자치단체(예: 구청)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 대상: 주거용 건물(주택, 아파트 등)과 그 부속 토지. 서울의 경우 보통 18평(약 60㎡) 초과 주택이 적용 대상이에요.
    • 조건: 실거주 목적이 아니면 허가가 제한되며, 투기성 거래(단기 매매 등)는 금지됩니다.
    • 기간: 지정 후 5년간 유효하며, 연장 또는 해제 가능.
      2025년 3월 기준, 강남구·서초구·송파구·용산구 등이 재지정되며, 이는 2024년 12월 해제 후 불과 3개월 만에 다시 묶인 사례입니다.

    토허제가 미치는 영향

    토허제는 부동산 시장과 개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긍정적 영향
    • 투기 억제: 허가制로 인해 단기 차익을 노린 투기 거래가 줄어듭니다. 매일경제 기사에 따르면, 토허제 해제 후 강남 집값이 급등(예: 송파구 잠실동 2주 만에 2억 상승)했지만, 재지정으로 거래량이 감소하며 과열이 억제될 가능성이 있어요.
    • 집값 안정화: 실수요자 중심의 거래가 늘어나며 매매가 급등세가 둔화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서울 집값 안정과 가계대출 증가 억제를 기대하고 있어요.
    • 정책 신호: 강력한 규제 의지를 보여 시장 심리를 진정시킬 수 있습니다."
    부정적 영향
    • 거래량 감소: 허가 절차로 인해 매매가 위축됩니다. 전문가들은 "단기 거래량 감소는 있지만 매매가 하락으로 이어지긴 어렵다"고 지적했어요.
    • 풍선효과: 강남 외 지역(예: 수도권)으로 투기 수요가 이동하며 집값 상승 압력이 생길 수 있어요. 2025년 3월 기준, 토허제 재지정 후 인근 지역 전월세 가격 상승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 정책 신뢰 하락: 해제 후 3개월 만의 재지정은 "냉탕·온탕 정책"이라는 비판을 받으며 정부 신뢰도에 타격을 줄 수 있어요.

    실효성 논란: 효과가 있을까?

    토허제의 실효성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립니다.

    • 찬성 측: "단기적으로 투기 억제와 거래량 감소 효과가 분명하다"는 입장. 국토부는 토허제가 과거(예: 2020년 강남 재지정)에도 집값 안정에 기여했다고 주장해요.
    • 반대 측: "매매가 하락으로 이어지기엔 한계가 있다"고 봅니다. 매일경제 기사에서 김인만 소장은 "공급 부족이 근본 문제인데 토허제는 임시 처방일 뿐"이라며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어요. 실제로 해제 후 급등한 집값(예: 강남구 대치동 1억~2억 상승)이 재지정만으로 내려갈지는 미지수입니다.

    토허제의 역할과 한계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은 부동산 투기를 억제하고 집값 안정을 목표로 하지만, 그 효과는 단기적 거래 억제에 머물 가능성이 높아요. 강남 집값 급등에 따른 정부의 이번 재지정은 시장 과열을 막으려는 의지로 보이지만, 공급 확대 같은 근본 해법 없이는 한계가 분명합니다. 

     

     

    상법 개정안 통과 주요 내용과 유리한 점, 불리한 점 분석

    2025년 3월 13일, 기업 이사의 충실 의무 대상을 회사에서 회사 및 주주로 확대하는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이 개정안은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 주도로 재석 279명 중 찬성 184명

    inform007.tistory.com